본문 바로가기

0. 역사, 역지사지

산해경(山海經)과 조선(朝鮮)


산해경(山海經)과 조선(朝鮮)
산해경 책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산해경(山海經)은 통상적으로 ‘중국 선진(先秦) 시대에 저술되었다고 추정되는 대표적인 신화집 및 지리서이다’ 라고 일컫어진다.
하(夏)나라의 우(禹)의 협력자 백익(伯益)의 저서라고 전한(前漢)의 유흠(劉歆)이 주장하나 이것은 가설이고, 춘추시대부터 한대(漢代) 초기까지 걸쳐서 호기심 많은 학자들이 한 가지씩 첨가한 것인데, 남산경(南山經)에서 시작하여 해내경(海內經)으로 끝나는 총 18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晋)나라(265-420)의 곽박(郭璞)이 기존의 자료를 모아 편찬하여 주(註)를 달았다. 본래 《산해경》은 인문지리지로 분류되었으나, 현대 신화학의 발전과 함께 신화집의 하나로 인식되고 연구되기도 한다. 《초사》의 <천문>과 함께 중국 신화를 기록한 귀한 고전이다. 고대 천문학의 개론서이라고 한다.
산경(山經)과 해경(海經)으로 되어 있으며, 과거의 대륙 현 중국 각지의 산과 바다에 나오는 풍물을 기록하였다. 내용 중에는 상상의 생물이나 산물이 있어서 지리서라고 하지만 전설 속의 지리라고 여겨지기도 한다. 《사기》에서 사마천은 감히 말할 수 없는 기서라고 하여 믿을 수 없다고 하였다.
산해경에는 중국의 역사로서 포함되기도 하는 황제(皇帝), 치우(蚩尤), 소호(少昊), 전욱(顓頊), 고신씨(高辛氏), 예(羿), 요임금(堯임금), 순임금(舜임금)이나, 조선(朝鮮), 청구(靑丘) 등의 실제로 있었던 지명이 등장하기도 한다. 산경은 지리서적인 성격에 비해, 해경은 신화적인 요소가 많다.

<정재서 번역 산해경-민음사 출판>

《산해경》은 「산경(山經)」 5권, 「해경(海經)」 13권으로 모두 18권이며, 목차는 다음과 같다.
산경(山經)
1권 남산경(南山經)/ 2권 서산경(西山經)/ 3권 북산경(北山經)/ 4권 동산경(東山經)/ 5권 중산경(中山經)
해경(海經)
1권 해외남경(海外南經)/ 2권 해외서경(海外西經)/3권 해외북경(海外北經)/4권 해외동경(海外東經)/ 5권 해내남경(海內南經)/ 6권 해내서경(海內西經)/ 7권 해내북경(海內北經)/ 8권 해내동경(海內東經)/ 9권 대황동경(大荒東經)/ 10권 대황남경(大荒南經)/ 11권 대황서경(大荒西經) /12권 대황북경(大荒北經)/13권 해내경(海內經) - 독편.
산해경에는 조선(朝鮮), 개국(蓋國), 숙신국(肅愼國), 맥국(貉國), 등 고대 한국과 관련된 기사가 많으므로 소위 동이계 문화로 간주. 다수의 학자들이 순(舜)과 예(羿)를 동이계 신화로 단정함. 손작운(孫作雲)은 산해경 전체를 동이계 고서로 간주한다.
유수(劉秀)의 산해경표 (山海經表)(전한(前漢) 애왕(哀王) BC53-AD 23)에서는 [산해경은 요순(堯舜)대에 만들어짐. 곤(鯀)의 치수에 실패한 후 우(禹)가 그 일을 마치고 구주(九州)를 정리한 후 백익과 함께 지었다.] 라고 함.
중국의 역사인식 체계로 말하자면 [산해경]은 목차의 순서를 뒤집어 읽어가면, 즉 독편인 해내경, 대황경, 해내외경, 중산경, 동산경, 북산경, 서산경, 남산경의 순으로 읽어 내려가면 그들의 전통적 역사인식체계, 즉 신화와 전설로 여겨지던 3황5제의 일부 서술과 세계의 기록을 찾아 볼 수있고 그들의 통치행위가 일어났던 지역을 주로 해내경, 대황경, 해내4경, 해외4경으로 구분지을 수 있고 차차로 밖으로 퍼져 역사인식이 희박해지는 지역으로 펼쳐지는 지리적 기록인 것으로 파악됨.
한편 산해경은 이 내용을 관찰하는 주요 관찰자가 누구인지 나타나 있지 않다. 어디가 중심인지가 드러나 있지않다. 그냥 막연히 산해경인데 이러한 지리 박물지같은 문건이 필요한 주체가 없다는 말이다. 그리고 지리지의 성격이라면 안에서 바깥으로 펼쳐나가는 것이 상례인데 산해경은 외곽부터 내부로 이동하는 시선으로 쓰여졌다는 것이다. 그러면 그 내부는 어디인가? 라는 궁금증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칙에 입각해서 보면 바로 제일 뒷편의 독편 해내경이 바로 산해경의 시작이고 따라서 해내경에 제일 먼저 등장하는 조선이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산해경은 어쩌면 후대에 목차의 선후가 역순으로 편집 변조되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다시 말해 <산해경은 조선 산해경(朝鮮 海經經)에 다름아니다> 라는 말이다.
산해경의 해내경을 맨 앞을 옮겨올 때 산해경의 시작은 바로 [東海之內(동해지내), 北海之隅(북해지우), 有國名曰朝鮮(유국명왈조선), 天毒其人水居(천독기인수거), 偎人愛之(외인애지)] 라는 문구로 바로 조선으로 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제까지의 이 문구의 해석은 국내의 내노라하는 전문가들도 거의 같은 수준의 번역과 해석을 남발하고 있는데 아래와 같다.
[동해의 안쪽, 북해의 모퉁이에 조선과 천독(인도)가 있는데 그 사람들은 물가에 살며 남을 아끼고 사랑한다] - 산해경 정재서의 번역.
여기에 다른 것은 차치하고라도 천독(인도) 라는 확정적 위치 해석때문에 때론 조선의 위치를 부탄이나 네팔등과 같은 경도상에 위치한 중앙 아시아 지역으로 비정하는 오류도 왕왕 범하였다. 천독은 인도를 말하는 천축이 아니다. 글자도 다르고 그 의미도 다르다. 단어 하나의 바른 해석이 없기 때문에 무리한 어거지 해석과 주장이 넘쳐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어처구니없는 해석으로 인해 허공에 뜬 역사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어딘지 모르는 북해 인근에는 반드시 조선과 인도(천축)이 가깝게 공존해야 하는 절대적 모순을 안고 있는 불합리한 역사지리가 되고 마는 것이다. 한편으로 조선 인근의 인도라는 인식체계가 불교 금강경의 주요 근거지가 현 국내의 금강산이라는 주장마저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자구 하나 하나의 올바른 해석이야말로 우리에게 새로운 시각을 부여하여 이제껏 잘못 이해되어져 온 역사 인식을 바로 잡을 계기가 될 것이다.
천독(天毒)을 단지 천축국(天竺國)의 단순한 오자로 보는 오류를 범하게 되면 영원히 바르게 해석할 수없다.
산해경이 쓰여졌던 시대의 문자 인식을 갖고 해석하지 않으면 올바른 해석이 되지 않는다. 이아(爾雅), 석지(釋地), 석고(釋詁), 설문(說文) 등의 고자 자전류의 어휘의미를 바로 알아야 한다.
천독은 천독기인수거(天毒其人水居)로 이어서 읽어야 한다. 해지우(海之隅)는 북해지우(北海之隅)로 해석할 ‘북해의 모퉁이’가 아니며 수거(水居) 역시 ‘물가에 산다’ 가 아니다.
해우는 대수풀, 즉 커다란 숲이요, 천독은 하늘이 기르는, 혹은 하늘이 다스리는, 기인수거의 수거는 수중가거왈주(水中可居曰洲) 즉 구주로 나눠진 땅에 살며 주(州)란 고금문 으로는 황하의 하류에 황해로 들어가는 물줄기들이 갈라놓은 지형적 모양을 나타낸다. 애지(愛之)는 걱정한다(憂)이다.
전체적인 재해석은 <<동해 안쪽, 북쪽의 대수풀에 조선(朝鮮)이라는 나라가 있다. 하늘이 기르는 그 나라 사람들은 구주에 살며 사람을 가까이 하고 걱정한다.>> 이며 이러한 올바른 해석으로 부터 우리는 고조선이 바로 지금의 산동(山東) 곡부(曲阜)지방에 존재한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사마천과 공중니에 의해 철저하게 가려진 원래 모습의 고조선을 찾는 것이다. 천손족인 동이족에 대한 명쾌한 해석이 되는 것이다. 대륙 내에 자리한 구이(九夷)의 위치도 명확해지고 원래의 제대로 된 우리의 역사를 복원하게 되는 것이다.

<구주(九州)와 임수(林藪) 대수풀.(빗금과 점선 안이 동이쪽의 근거지)>

<구이의 형세도>

산해경의 해(海)의 의미는 무엇인가? 대륙은 동쪽과 동남쪽만 바다가 있다. 그런데 산해경에는 해외서경(海外西經)과 해외북경(海外北經)이 있으니 여기서 해(海)란 바다가 아님을 쉽게 알 수 있다.
워낙 해(海)는 현재 쓰이는 바다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였다. 지평선이 보이지 않는 끝없이 넓은 들을 흔히 ‘바다처럼 넓다’ 라고 하는데 바다의 원 어의는 ‘넓다란 땅’을 말하는 것이였으나 후대에 바다는 지금처럼 해양(海洋)을 두고 하는 말로 전이된 것 같다.
바다 해(海)는 소리중심 문자가 아니라 상형자인 어미 모(母)를 근간으로 두고 있는 것으로 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 같다. 이 어미 모를 끼고 있는 또 다른 문자가 바로 독(毒)자인데 기를 양(養)이나 다스릴 치(治)와 같은 의미인 것이 후대에 다스릴 독보다는 독약 독에 우선적 의미를 부여하게 됐다. 이것을 확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겠다.

<한 없이 드넓은 바다같은 벌판>

<한 없이 드넓은 바다같은 초원>